[예레미야 44:11-19] 11 그러므로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 이와 같이 말씀하시니라 보라 내가 얼굴을 너희에게로 향하여 환난을 내리고 온 유다를 끊어 버릴 것이며 12 내가 또 애굽 땅에 머물러 살기로 고집하고 그리로 들어간 유다의 남은 자들을 처단하리니 그들이 다 멸망하여 애굽 땅에서 엎드러질 것이라 그들이 칼과 기근에 망하되 낮은 자로부터 높은 자까지 칼과 기근에 죽어서 저주와 놀램과 조롱과 수치의 대상이 되리라 13 내가 예루살렘을 벌한 것 같이 애굽 땅에 사는 자들을 칼과 기근과 전염병으로 벌하리니 14 애굽 땅에 들어가서 거기에 머물러 살려는 유다의 남은 자 중에 피하거나 살아 남아 소원대로 돌아와서 살고자 하여 유다 땅에 돌아올 자가 없을 것이라 도망치는 자들 외에는 돌아올 자가 없으리라 하셨느니라 15 그리하여 자기 아내들이 다른 신들에게 분향하는 줄을 아는 모든 남자와 곁에 섰던 모든 여인 곧 애굽 땅 바드로스에 사는 모든 백성의 큰 무리가 예레미야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16 네가 여호와의 이름으로 우리에게 하는 말을 우리가 듣지 아니하고 17 우리 입에서 낸 모든 말을 반드시 실행하여 우리가 본래 하던 것 곧 우리와 우리 선조와 우리 왕들과 우리 고관들이 유다 성읍들과 예루살렘 거리에서 하던 대로 하늘의 여왕에게 분향하고 그 앞에 전제를 드리리라 그 때에는 우리가 먹을 것이 풍부하며 복을 받고 재난을 당하지 아니하였더니 18 우리가 하늘의 여왕에게 분향하고 그 앞에 전제 드리던 것을 폐한 후부터는 모든 것이 궁핍하고 칼과 기근에 멸망을 당하였느니라 하며 19 여인들은 이르되 우리가 하늘의 여왕에게 분향하고 그 앞에 전제를 드릴 때에 어찌 우리 남편의 허락이 없이 그의 형상과 같은 과자를 만들어 놓고 전제를 드렸느냐 하는지라
top of page
bottom of page
본문이해: 예레미야의 에언은 애굽으로 간 유다는 환난과 칼과 기근에 낮은 자로부터 높은 자까지 죽어서 저주와 놀램과 수치의 대상이 될 것이라 한다. 그들은 하늘의 여왕이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고 풍성한 복을 주고 재난을 당하지 않게 했다고 하며 가증히 제사하고 섬기는 우상숭배를 했기 때문이다. 예레미야의 말을 듣지 않고 자신들만 한 것이 아니고 조상들처럼 그리고 부부가 함께 한 일이라 하며 하늘의 여왕을 숭배해야 풍요롭게 산다고 주장한다. 묵상&적용: 예로부터 전해지는 죽음에 이르는 7대 죄악이 있다. (Seven Deadly Sin) 교만,시기,나태,분노,탐욕,식탐,색욕 언약의 백성, 선민인 유다가 먹을 것이 풍부하고 복을 받고 재난을 당하지 않기위해 가증스런 우상숭배를 타향살이 애굽에서까지 하고 있다. 인간은 육체를 가졌기 때문에 물질적인 채움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지만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어지고 그 숨으로 생령이 된 존재이기에 영의 지배를 받는 육체도 본질이 뒤바뀌고는 결코 진정한 진리의 삶을 살 수 없다. 이스라엘백성의 추한 모습을 낱낱이 보며 말씀이 임하여도 돌이키지 않는 교만과 탐욕의 끝을 보는 것 같아 힘들다. 오로지 나. 나에게 집착하여 내가 얼마나 편안하고 배부른지 풍요로운지 ... 오직 그것에 목숨을 걸고 탐닉하는 지금의 세대와 세상과 많이 다르지 않다. 포장되었지만 내게 그런 걸 줄 것 같은 물질과 사람앞에 숭배하고 따른다. 한국에서 어린 아이들부터 남자들까지 성형수술을 하는 이유가 이런 가치관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눈에 이쁘고 잘생겨 보여야 인정받고 돈을 많이 벌 수 있고 가치있는 사람이라 대우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너무도 죄된 이 세계관들이 팽배한 곳이 우리가 사는 지금의 현실이다. 크리스찬은 무엇인가? 우린 무엇을 위해 부르심을 받았나? 복음의 진실한 능력과 의미는 무엇인가? 진지하게 살피고 깨어 일어나야만 이 세상에 매몰되지 않을 수 있다. 오늘도 살아계시고 창조자와 주관자 와 구원자 되시고 참된 복의 근원이신 하나님을 바로 알고 그 분의 말씀에 나를 비추며 하루를 시작해야겠다. 외롭고 고난인 인생인 듯 보이는 예레미야처럼 비록 이 땅에 삶이 녹록치 않아도 이땅의 마지막 그 날까지 영광스런 의의 면류관 바라보며 주님 뜻 따르며 부르심에 합당한 삶을 살아야하겠다. 죄악에서 건지신 주님의 놀라운 은혜를 다시 한 번 찬양하며... 기도: 주님, 말씀과 성령안에 분별하고 자아를 성찰하는 하루가 되게 도와주시옵소서. 예수님 이름으로 기도드립니다.